TIL archiving ···.ᐟ 30

[노트내용정리] 생성자 함수 & Class (feat. 프로토타입, instance, new)

📌 생성자 함수 (constructor function)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함수유사한 객체 여러 개를 쉽게 만들 수 있다.일반함수와 구분하기 위해 'new' 연산자를 사용해 호출하고, 첫 번째 문자를 대문자(파스칼 케이스)로 작성한다.new 연산자- 빈 객체를 생성한다.- 새로 생성된 빈 객체는 생성자의 프로토타입을 상속받는다.- this를 새로 생성된 객체에 바인드 시킨다.- 생성자에 명시적으로 다른 객체를 리턴하지 않는 경우, this로 바인드된 객체가 반환된다. (일반적으로 생성자는 값을 리턴하지 않음)function User(name) { // this = {}; (빈 객체가 암시적으로 만들어짐) // 새로운 프로퍼티를 this에 추가함 this.name = name; this...

[Git 에러] Another git process seems to be running in this repository

fatal: Unable to create 'C:/Users/내 파일경로/현재 작업 폴더/.git/index.lock': File exists.Another git process seems to be running in this repository, e.g.an editor opened by 'git commit'. Please make sure all processesare terminated then try again. If it still fails, a git processmay have crashed in this repository earlier:remove the file manually to continue.  📌 이슈상황요즘 백엔드 수업을 들으면서 노드 작업중에 터미널에서 서버실행, g..

[노트내용정리] this & 콜 어플라이 바인드 (Call, Apply, Bind)

📌 thisthis는 객체를 가리키는 참조 변수. 호출되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this를 정의한다.function a(){ console.log(this) }a(); // windowlet myObj = { val1: 100, func1: function () { console.log(this); }}myObj.func1(); // myObj전역 컨텍스트: this는 전역 객체(브라우저에서는 window)를 가리킨다. 함수의 'this'는 호출시점에 따라 달라진다. 일반함수는 호출 위치에 따라 this를 정의하고, 화살표함수는 자신이 선언된 함수 범위에서 this를 정의한다.const hello = { name: '이름ㅇㅇㅇ', normal..

[노트내용정리] Iterable객체와 유사 배열 객체

📌 Iterable객체 (Iterable Object)Iterable 객체란 반복 가능한 객체를 의미한다. Iterable 객체에는 'for...of 반복문'을 사용할 수 있다. 1. Iterable 객체의 조건 이터레이션 [symbol.iterator] 함수를 가져야 한다. 오브젝트가 '반복' 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. (0번부터 순차적으로 와야함) ∴ 배열, 혹은 유사배열은 대부분 이터러블 객체이다. (이외에 문자열,Map,Set 등이 있다) symbol.iterator는 'iterator'라는 객체를 반환하는데 이 iterator객체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한다.1. next() 라는 메서드를 가진다.2. next() 메서드는 done과 value객체를 반환한다. {done: Boolea..

[노트내용정리] 전개 연산자(Spread Operator) & 구조 분해 할당(Destructuring)

📌전개 연산자(Spread Operator) 배열이나 객체를 펼쳐서(spread) 구조를 확장할 때 사용. 배열이나 객체를 쉽게 복사하거나, 새로운 배열이나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.(spread syntax, 전개구문 등으로도 부른다.)💡‘퍼지다, 펼치다’ 라는 spread의 뜻 처럼, 배열이나 객체로 포장되어 있는 데이터를가지런히 펼쳐놓는이미지를 생각하자! 1. 배열의 전개쉼표로 구분된 각각의 아이템으로 배열 데이터가 전개되어 만들어진다. 대괄호[ ] 안에서 세 개의 점(...)을 사용하여 배열을 확장순차적으로 흩뿌려준다.const arr = [1,2,3]console.dir(arr)// 결과Array(3)0: 11: 22: 3length: 3[[Prototype]]: Array(0)// => ....

[노트내용정리] 조건문과 반복문

📌조건문조건에 따라 실행되는 코드. 조건식이 참(Truthy)인 값이나 거짓(Falsy)인 값을 반환하는지에 따라 코드를 수행할지 말지 판단한다.조건문에는 break나 return을 반드시 사용해줘야 한다. (조건식을 탈출 할 수 있도록)💡 함수를 만들 때 *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거짓조건을 제일 위에 써준다. (함수 끝까지 돌지 않고 바로 거를 수 있게)* 조건이 여러개 일 때는 if문이나 switch를 주로 사용한다.* 조건을 걸 때는 삼항연산자 위주로 사용한다. (중첩삼항을 쓰는 경우도 있음)  1. If문조건이 참일 때만 실행if (조건식) { // 조건식이 참일 때 실행될 코드}let isShow = true;let checked = false;if (isShow) { cosole.log..